내가 아파트를 구입한다면 필수 선정기준.
Economy/Estate(부동산)
2023. 11. 27. 22:43
한국의 가계부채와 15층 이상 아파트의 문제에 관하여 이미 수년 전에 글을 쓴 적이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하여 다시 재차 언급하지 않겠다.이번 글은 매우 간략하게 핵심만 간단히 적어보고자 한다.이 글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면 2-30대 사회초년생 중에도 부동산에 대해 전혀 모르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만약 지금 당장 혹은 앞으로 1-2년 내에 아파트 구입을 예정하고 있다면,투기목적이 아닌 주택가격의 흐름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거주할 목적으로 아파트 구입 시 몇 가지 자신만의 선정기준이 있어야 주택구입으로 인한 장기적 관점에서의 곤란한 지경에 처하는 것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내가 만약 위와 같은 계획을 갖고 있는 2-30대 무경험자라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정해 놓고 매입대상 아..
바지 빌라사장과 깡통주택 그리고 전세사기
Economy/Estate(부동산)
2020. 11. 18. 02:29
사실상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없는 주택. 새로운 임차인을 직접 구해야 나갈 수 있는 임차인. 깡통주택임을 모르고 임대차 계약하는 임차인. 건물주가 바지인지 알려주지 않는 등기부등본. 가압류, 근저당권이 있는 주택을 떠안도록 강요당하는 임차인. 박근혜 정권이 부동산가격 떠받치기 목적으로 끌어올린 아파트 전세가격. 여기에다 코로나 위기대응 차원에서 풀린 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면서 빌라, 다가구 등의 전세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와중에 현금이 충분하지 않은 중산층 이하 가구들이 빌라 전세시장으로 내몰리면서 각종 피해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대표적인 수법은 몇 백만 원을 주고 바지를 내세워 빌라를 사들이거나 신축하여 선순위 근저당권 설정 후 남은 부분을 주변의 전세시세 보다 저렴하게 전세임대 후 ..
코로나 이후의 부동산(아파트) 시장 어떻게 바뀌나.
Economy/Estate(부동산)
2020. 5. 31. 19:59
과연 부동산 몰빵 국가인 대한민국, 국부의 약 80퍼센트가 부동산에 몰려 있다는 대한민국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특히 대한민국 국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동산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아파트에 대한 투자흐름은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하여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 10년 동안 계속해서 폭증하고 있는 가계부채와 '코로나 19' 상황 이후 급증한 가계와 기업의 대출 역시 수도권 아파트 가격에 적잖은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크다. 물론 지금은 한은의 금리인하로 얼마간은 버티겠으나, 국가가 언제까지 여기저기 금이 간 독을 채워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출산율 저하로 인한 미래 주택 잠재수요 감소, 고령화 세대의 주택매도 필요성 증가. 현금회전율이 높지 않은 부동산에 묶인 가계부채로 인한 소비감..

기재부와 국토부가 학습 시킨 "아파트 불사"의 천태만상.
Economy/Estate(부동산)
2019. 11. 28. 15:52
기재부와 국토부가 학습 시킨 "아파트 불사"의 천태만상. 서울 아파트 매매에 편법증여 532건, 대출유용 23건 적발 한겨레 - http://www.hani.co.kr/arti/economy/property/918841.html?_fr=mt2 일찍이 [9.13 부동산 조치 역시 망작이다.]그리고 [환금성 기능을 상실해가는 오래된 고층아파트 문제... 이대로 좋은가...]에서 예견한 대로 아파트 특히 서울 그중에서도 강남권에 근접한 지역의 신축 아파트로 매수세가 몰리면서 서울권 아파트 가격의 전체적인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 대통령은 집값 잡아야 한다 하는데 어찌 된 것이 국토부와 기재부의 부동산 관련 정책들은 집값 받치는데 일조하는 것으로만 보이니 매우 이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정부가 계속해..
기재부와 국토부는 정말 건설카르텔의 하부기관인 것인가.
Economy/Estate(부동산)
2019. 10. 10. 15:17
기재부와 국토부는 정말 건설카르텔의 하부기관인 것인가. 수십 년 쌓인 건설 마피아들의 거대한 카르텔. 모든 부동산 공법은 사실상 건설사의 이익에 부합한다. 부동산 가격하락을 유도할 대안을 아는 기재부와 국토부 고위 관료들은 왜 항상 이 모양일까. 기재부와 국토부는 건설마피아를 중심으로 한 건설 카르텔의 하부기관인가 의심이 들 지경이다. 경험상 부동산 가격은 안정을 목표로 하면 절대 안정을 이룰 수 없다. 부동산 가격은 하락을 목표로 해야 그나마 안정을 기대할 수 있다. 기재부와 국토부는 확실한 부동산 대책을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으나 실행하지 않고 있다. 아파트 가격을 잡기 위한 확실한 대책은 바로 이것. 분양원가 공개와 보유세 2배 인상 그리고 양도세 50% 인하. 위 대책들을 시행할 경우 아파트 가격인..
재벌의 부동산 보유세가 저렴한 나라, 대한민국의 '10대 부동산 재벌의 부동산 가치가 1,000조 원'이다.
Economy/Estate(부동산)
2019. 2. 27. 02:28
재벌의 부동산 보유세가 저렴한 나라, 대한민국의 '10대 부동산 재벌의 부동산 가치가 1,000조 원'이다. 2007년 - 2017년 사이 보유 토지 규모 상위 10개 부동산재벌이 소유한 토지의 증가규모. 4억 7,000 만평, 여의도 면적의 530 배 크기. 2017년 공시지가 기준 283 조원. 2017년 현재 보유 토지 규모 상위 10개 부동산재벌이 보유한 토지 규모. 5억 7,000 만평, 여의도 면적의 650 배 크기. 2017년 공시지가 기준 385 조원. 관련자료 : 프레시안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230487#09T0 "5대 재벌 10년 사이 땅 44조 원 어치 사들여" 한국 5대 재벌(현대차, 삼성, SK, 롯데, LG)이 보유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