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경제전쟁 기사에 달린 이상한 댓글 2
Reform(개혁)/Portal(포털)
2019. 8. 7. 12:36
한.일 경제전쟁 기사에 달린 이상한 댓글 2 얼마 전에 일본의 경제침략 관련 기사에 이상한 댓글이 올라온다는 글을 쓴 적이 있다. 그런데 오늘 유사한 댓글이 또 발견되었다. 이것은 일본의 경제침략과 관련한 여론을 흔들고 이간질하려는 불특정 세력이 고의적으로 댓글여론을 형성하고 있다고 받아들여질 수 있는 부분이 될 것이다. 댓글은 어떤 내용인지 쉽게 알지 못하도록 매우 여러 줄로 되어 있다. 이전의 댓글과 유사한 형태다. 댓글은 대한민국 국민들에 돈에 환장한 국민들이라고 비꼬고 있지만 공감숫자가 순식간에 1,000을 돌파하고 있다. 관련 기사 - https://news.v.daum.net/v/20190807115341838 [관련 글] 한.일 경제전쟁 기사에 달린 이상한 댓글.
다음 포털의 댓글기능 잦은 오류, 고의적인가 의심.
Reform(개혁)/Portal(포털)
2019. 8. 1. 16:50
다음 포털의 댓글기능 잦은 오류, 고의적인가 의심. 일본의 경제침략 직후부터 발생빈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다음 뉴스의 댓글 불러오기 오류. 이러한 오류는 휴대폰, PC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고 있다. 한일 간 경제전쟁과 궤를 같이 하고 있는 것인가. 네티즌 입장에서 매우 궁금한 부분이다. 다음 포털의 특정뉴스에 너무 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몰렸고, 다음이 수용을 할 수 없는 한계를 드러낸 것인가. 다음과 같은 거대포털이 수용능력의 한계를 드러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아니면 우연의 일치다? 어느쪽이든 그렇게 신빙성이 있는 추론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 그러기에는 한일간 관계가 너무나 핫한 상황에 이런 문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차라리 누군가 고의로 특정 뉴스만을 골라 댓글 기능을 마비시..
이제 더 이상 네이버를 볼 필요가 없게 되었다.
Reform(개혁)/Portal(포털)
2018. 11. 24. 14:11
이제 더 이상 네이버를 볼 필요가 없게 되었다.과거에는 온라인에서 벌어지는 각종 이슈들을 보기 위하여 네이버를 이용하곤 하였다. 그런데 요즘은 굳이 네이버를 들어갈 필요가 없어졌다는 느낌이다. 왜 그런가... 첫째, 대한민국 정치판이 유튜브를 통한 간접 대면정치로 탈바꿈을 하였다. 둘째, 카카오의 다음 인수 이후 다음이 과거 네이버의 모습을 닮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언론과 블로그 등을 통한 온갖 루머와 여론조작의 중심 네이버. 그로 인하여 국민의 지탄의 대상이 된 네이버. 다음이 원했든, 원치 않았든 네이버가 지금껏 해온 역할을 다음이 하고 있는 것, 점점 더 그 강도와 비중이 커지고 있는 것만큼은 숨길 수 없는 팩트다. 다음의 메인을 보면 쓰레기 언론들의 여론조작 덩어리들로 뒤범벅이 되어 있음을 확인할..
빌어먹을 다음의 추천뉴스 수준을 보라
Reform(개혁)/Portal(포털)
2018. 11. 14. 00:50
아래 사진은 11월 14일자 다음 추천 뉴스다. 한 개는 최종구 금융위원장 건, 나머지 한 개는 일본관련 뉴스다. 이런 것이 왜 뉴스인지도 모르겠고..., 다음 누가 이런 것을 추천뉴스라고 선택하는지 진심 궁금할 따름이다. 혹 최종구 금융위원장 이미지 메이킹이라도 해주려는 심사인가. 이미지 메이킹이 목적이라면 좀더 그럴싸하고, 수준 높게 해줄 수도 있었을 것인데.... 카카오에 인수되더니 다음 망가지는 소리가 귀에 들리는듯 하다. 뉴스 편집을 통한 여론조작에 정신이 팔리더니 이제는 자신들이 무슨 짓을 하는지도 모르는 모양. [관련 글]정부는 즉각 모든 포털의 뉴스 인링크 시스템을 차단하라....조, 중, 동을 비롯한 언론과 포털이 서민층 편가르기에 돌입.네이버와 다음이 댓글조작을 바라만 보는 진짜 이유...
다음 추천뉴스의 정체
Reform(개혁)/Portal(포털)
2018. 10. 29. 23:43
다음 추천뉴스의 정체 아래 화면은 오늘 자 다음에 걸린 추천 뉴스다. 경제면 하단에 걸린 추천 뉴스다. 경제면 뉴스의 성격으로 보았을 때 과연 이것을 어떤 의도로 추천뉴스로 선정했는지 그 의도를 궁금하게 하는 장면이다. 경제면에서 추천뉴스라고 한다면 우선적으로 반드시 국내적인 것이 아니더라도 경제와 관련한 내용이었어야 한다고 본다. 다음이 카카오에 인수된 후로 네이버와 한 집안이 된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다음의 뉴스 편집성향이 매우 보수적으로 변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들 중 하나라 할 수 있겠다.다음 경제면 개별 뉴스 하단에 떠 있는 추천뉴스를 캡쳐한 화면이다. [관련 글]정부는 즉각 모든 포털의 뉴스 인링크 시스템을 차단하라....네이버와 다음은 개소리 닥치고 즉각 아웃링크를 도입하라.네이버와..
정부는 즉각 모든 포털의 뉴스 인링크 시스템을 차단하라....
Reform(개혁)/Portal(포털)
2018. 6. 6. 17:58
https://www.youtube.com/watch?v=Je4gx43k_pM - 한겨레TV 유튜브 [ "나는 조작했다" 어느 매크로 전문가의 고백] 국민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단 5분이면 매크로를 이용한 뉴스 댓글조작이 가능한 대한민국 포털의 뉴스 시스템은 그야말로 포털이 여론조작의 천국임을 입증하고 있다. 정보통신부, 방통위, 문체부 등 뉴스미디어 관련 주요 정부기관의 핵심 고위직 간부들과 실무진들이 정말 이런 실태를 몰랐는가... 몰랐다면 무능의 소치임을 드러내는 것이며, 알고도 방치했다면 국민들 상대로한 여론조작의 공범임을 자인하는 꼴이다. 아웃링크가 국민을 불편하게 한다는 주장은 진정 개소리. 그런 소리를 하는 바로 그자들은 여론조작의 또 다른 주범이다. 정부는 즉각 모든 포털의 뉴스 인링크 시..